본문 바로가기

Fun 2DAY

헐리우드로 간 한국 감독 <김지운, 박찬욱, 봉준호> 세계에서 만나다!!

김지운, 박찬욱, 봉준호를 세계 무대에서 만나다


최근 헐리우드에서 한국 영화시장의 가능성을 높이 보고 있는데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눈길이 가는 건 바로 한국의 스타감독, 김지운, 박찬욱, 봉준호 감독들의 잇단 해외 영화제 수상과 헐리우드 러브콜이 큰 이유일 것입니다. 한국에서 좋은 영화를 만든 감독들이 해외 유명 영화제에서 큰 상을 수상하고 헐리우드에서도 이들을 데려와 영화를 만들어 좋은 성과를 내기 때문이겠지요.

▶세 감독의 작품 <악마를 보았다, 김지운>, <올드보이, 박찬욱>, <살인의추억, 봉준호>


그리고 공교롭게 2013년은 이들 한국 스타감독들이 헐리우드에서 만든 신작들이 동시에 개봉하기도 합니다. 김지운, 박찬욱 감독은 헐리우드 유명 스튜디오에 픽업되어 현지에서 직접 영화를 만들었으며 봉준호 감독은 헐리우드의 최고 스탭과 배우들을 데려와 세계 시장을 상대로 한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한국 영화인의 힘이 곧 세계의 기대작이 되는 꿈의 프로젝트, 영화팬으로서는 놓치고 싶지 않은 기회인데요, 이에 이번 주 영화대영화는 다시 한 번 삼자대결[!], 아니 대결자체가 한국영화 팬으로서 뿌듯한 김지운 VS 박찬욱 VS 봉준호 감독의 해외용[?] 신작을 비교 분석하는 시간을 갖기로 하겠습니다.

어떻게 그들은 세계로 갔나?-세 감독들의 세계적 히트작


세 분의 감독이 바로 헐리우드에 픽업 된 것은 아닙니다. 앞에서 언급한대로 국내(한국)에서 만든 좋은 작품들이 해외 영화제에서 잇단 수상과 러브콜로 관심을 가지게 되어 해외에서 영화를 만들 수 있었는데요, 그렇다면 세 감독의 어떤 작품들이 이런 드림 프로젝트의 씨앗이 되었을까요?

김지운 감독 호러에서 엑션까지, 헐리우드가 반한 장르 마스터 


▶<장화,홍련>해외포스터


장르마스터라고 불리는 김지운 감독의 첫 번째 헐리우드 러브 콜은 <장화,홍련>이었습니다. 당시 헐리우드는 아시아 산 공포영화가 큰 붐을 일으키고 있었고[일본의 <주온>, 태국의 <디아이>등등] 이에 한국에서도 공포영화로는 이례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장화 홍련>을 주목했습니다. 그래서 김지운 감독에게 몇몇 헐리우드 공포영화의 프로젝트 참여를 원했다고 하네요. 

▶<달콤한 인생> 해외포스터와 <놈놈놈> 칸 국제영화제 특별 포스터


하지만 같은 영화를 두 번 찍는 느낌이 들어 거절 했고 이후 2005년 <달콤한 인생>이 칸국제영화제에 진출하며 다시 한 번 세계영화계에서 주목을 받았고 2008년에는 <놈놈놈>이 칸국제영화제 갈라프리젠테이션이 진출해 화려한 레드카페를 밟으며 월드 프리미어 행사도 가졌습니다. 그것이 바탕이 되어 <라스트 스탠드> 팀들이 김지운 감독의 액션 실력을 높이 평가해 같이 작업하게 되었죠. 여담으로 제작사 로빈 디 벤츄라와 주연배우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김지운 감독의 작품 중 가장 좋아하는 영화가 <놈놈놈>이라고 하네요

박찬욱 감독 - 칸이 인정한 거장, 헐리우드로 가다


▶<올드보이> 2004년 칸국제영화제 심사위원대상작


박찬욱 감독의 해외 진출의 초석은 뭐니뭐니해도 2003년 <올드보이>였습니다. 57회 칸국제영화제에 경쟁 부문에 진출해 2등 상에 해당하는 심사위원대상을 수상, 일약 세계적으로 박찬욱 감독을 단숨에 거장으로 올렸습니다. 특히 이 해 칸영화제 심사위원장이 쿠엔티 타란티노였는데 유달리 박찬욱 감독에게 친근감을 표시했고 최근 <장고>로 국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근 10년 동안 본 최고의 영화 중 한 편!”이라고 말했을 정도였습니다.
 

▶<박쥐> 칸 국제영화제 심사위원상


이후 박찬욱 감독은 <박쥐>로 다시 한 번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해 이번에는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해외에서의 박찬욱 사랑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칸 영화제를 비롯한 각 종 해외영화제에서의 극찬을 바탕으로 헐리우드로 진출, 헐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인 20세기 폭스사의 <스토커>를 직접 연출하였으며 또한 자신의 출세작 <올드보이>는 올 해 하반기 개봉을 목표로 스파이크 리 감독, 조쉬 브롤린, 사무엘 잭슨의 출연으로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가 한창 중입니다.

봉준호 감독 – 화려하지 않지만 탄탄한 해외에서의 행보


▶<살인의 추억>해외포스터


봉준호 감독을 처음 세계에서 알린 작품은 [개인적으로도] 최고의 한국영화로 꼽는 <살인의 추억>입니다. 박찬욱 감독처럼 세계 3대 유명 영화제 수상은 빛나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의 크고 작은 영화제에서 초청받으며 큰 성과를 내었는데요, 스폐인 산세바스찬 국제영화제 감독상, 이태리 토리노 국제영화제에서 각본상, 관객상, 도쿄 국제영화제에 아시아 영화상을 수상해 감독의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 만들었습니다.

▶<괴물>해외포스터와 당시 칸국제영화제 상영때 봉준호 감독의 어퍼컷


이후 <괴물>로 칸국제영화제 비경쟁부문인 감독 주간에 초정 되어 당시 국내에서 큰 화제가 되었던 기립박수 세례와 봉감독의 어퍼컷 사진으로 천만 관객 돌파의 신호탄이 되었으며.

▶<마더>해외포스터


2009년 <마더>가 칸 국제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되어 상당한 호평을 받았습니다. 몇몇 평론가는 ‘왜 <마더>가 경쟁부문에 초청되지 못했나?; 의아해 했을 정도, 거기에 <마더>의 주인공 김혜자님은 LA 비평가 협회에 여우주연상을 수상할 정도로 미국에서도 대 호평을 받았습니다. 결국 봉감독은 필모그래피에서 축적한 작품성과 해외영화제에서의 활약으로 세계 시장을 상대로 한 글로벌 프로젝트 <설국열차>를 연출하고 올 여름 최고 기대작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라스트 스탠드>,<스토커>,<설국열차> 그들이 만든 글로벌 프로젝트 


잇단 해외 영화제에서의 성과와 러브콜로 세 감독은 해외 진출에 성공하였고 공교롭게 드디어 올 해 세 작품이 공개되었습니다. 마치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한 박지성 출전경기를 보는,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류현진 선수의 선발 등판을 보는 두근거리는 기다림, 과연 세 작품의 포스는 어땠을까요?

액션으로 돌아온 김지운 감독의 <라스트 스탠드>


▶ 김지운감독의 헐리우드 진출작 <라스트스탠드>


김지운 감독은 한국에서도 다양한 장르 영화를 많이 만들었는데요, 그래서 해외진출작도 어떤 영화를 찍기보다는 어떤 장르를 만들었을까가 더 궁금했습니다. 그의 첫 번째 헐리우드에서의 선택은 ‘액션’이었네요!!! 액션으로 돌아온 김지운 감독의 작품 <라스트 스탠드>입니다.

▶<라스트 스탠드>의 주인공 아놀드슈왈제네거와 김지운 감독


<라스트 스탠드>는 <힝거게임>과 <익스펜더블>같은 블록버스터와 <화씨 911>, <크래쉬>등 작품성 있는 영화들을 동시에 배급하고 있는 라이온즈 게이트에서 제작했고, 멕시코 국경을 향해 질주하는 마약왕과 그를 막아야 하는 작은 국경 마을 보완관의 대결을 그린 작품입니다. 

<라스트 스탠드>는 당초 리암 니슨이 출연할 예정이었으나 스케줄로 아쉽게 하차, 대신 주지사에서 본연의 자리로 돌아올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이 작품에 큰 욕심을 내며 자신의 주연 컴백작으로 선택하였다고 하네요. 촬영하면서 김지운 감독과 늘 소통하며 작품에 긍정적인 방향을 이야기했고 모든 것이 끝난 뒤 김지운 감독의 액션 감각에 대해 ‘투 썸즈 업’까지 했다는 이야기! 인간이 된 터미네이터 아놀드 슈왈제네거의 연기변신과 슈퍼카 ZR1의 화려한 묘기가 영화의 하이라이트.

헐리우드에서 펼치는 박찬욱 미학 <스토커>


▶박찬욱 감독의 헐리우드 진출작 <스토커>


20세기 폭스 자회사 폭스 서치라이트가 제작/배급하는 <스토커>는 박찬욱 감독이 직접 헐리우드 현지에 픽업되어 연출한 작품입니다. 

▶<스토커>의 주인공 미와 와시코브스카에게 촬영을 설명하는 박찬욱 감독


아버지 죽음 이후 갑자기 딸 앞에 나타난 삼촌의 이야기를 박찬욱 감독 특유의 스타일로 만든 작품으로서 니콜 키드만과 미아 와시코브스카가 부녀로 캐스팅되었습니다. 특히 이 영화는 박찬욱 감독의 연출작으로도 유명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석호필로 익숙한 웬트워스 밀러가 각본을 담당했죠. 그의 각본에서 느껴지는 여운을 <박쥐>, <복수는 나의 것>같은 ‘박찬욱 미학’이 더해져 개인적으로 현재까지 본 작품 중 예술적 가치나 오락적 재미 모두 최고라고 추천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유명 감독의 헐리우드 진출이 반갑기는 하나, 대부분 본토에서 개성 넘쳤던 색깔을 잃어버리고 양산형 작품에 그칠 때가 많은데, <스토커>는 달랐습니다. 영화 주제곡 답게 박찬욱 감독은 헐리우드에서도 “나의 색깔을 찾았어!”라는 느낌? 뭐, 사실 잃어버린 적도 없었지만요.

봉준호, 그 이름만으로도 최고 기대작 <설국열차>


마지막으로 붕준호 감독의 <설국열차>. 먼저 공개 된 두 작품에 비해 아직까지 베일에 쌓여있어 궁금증은 더해가는데, 본격적인 프리뷰에 앞서 이야기를 하자면, 저의 섣부른 판단일까요? 하지만 지금 한국영화 팬들에게 올 해 최고의 기대작을 꼽으라면 단연코 <설국열차>가 될 것임을 자신합니다. <설국열차>는 봉준호(연출)+박찬욱(제작)의 만남이자 2013년 글로벌 프로젝트입니다.

▶<설국열차>베를린 영화제 프로모션 용 포스터


다만 <설국열차>는 앞의 두 감독처럼 헐리우드에서 직접 러브콜을 받아 현지에서 만든 작품이 아닙니다. 굳이 국적을 밝히자면 ‘한국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헐리우드 배우와 스탭들’이 참여하는 한국 제작의 영화가 정확할 것입니다. 현재까지 <설국열차>의 제작자는 한국의 CJ 엔터테인먼트와 오퍼스 픽쳐스 그리고 박찬욱 감독의 모호필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헐리우드에서도 군침을 흘리는 원작 프랑스 만화  ‘Le Transperceneige’의 힘과 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진 봉준호 감독의 명성으로 글로벌 프로젝트가 될 수 있었습니다. [한때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이 프로젝트에 눈독을 들였다는 말은 꽤 유명할 정도니깐요. 실제로 최종까지 주연 협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설국열차>의 화려한 캐스팅


그래서인지 <설국열차>에 탑승한 배우들의 면모는 화려합니다. 봉준호 감독과 송강호 출연 외 <어벤져스>의 캡틴 크리스 에반스, <아이엠러브>,<어바웃케빈> 틸다 스웨튼, <헬프>의 옥타비아 스펜서, <빌리엘리엇>의 제이미 벨, <더록>의 에드 해리스, <에이리언>의 존 허트 등 헐리우드 신구 조합의 앙상블을 제대로 갖추었습니다. 특히 크리스 에반스과 옥타비아 스펜서는 <설국열차> 캐스팅 된 후 각자의 출연작의 엄청난 흥행과, 아카데미 수상[<헬프>옥타비아 스펜서-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으로 영화의 네임 밸류도 같이 업그레이드 시켰죠. 

최근에 들어온 <설국열차>의 소식은 <킹스 스피치>,<아티스트><더 리더>,<바스터즈>등 아카데미 최강 로비스트 와인스타인이 북미배급을 확정했고, 베를린 영화제에서 프로모션 필름이 공개되어 제작비 절반을 이미 회수했을 정도로 해외에서 반응이 뜨거웠다고 합니다. 또한 미리 본 관계자들은 “봉준호 감독이 예술을 했다!”는 평가로 그의 필모그래피 최고 작품이 될 지도 모른다는 반응까지, 가만히 있어도 한국 최고의 기대작인데, 이런 기세라면 세계적으로도 올 해 가장 큰 기대작이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국영화팬으로, 세계적으로 감독들을 응원하겠습니다.


▶<라스트 스탠드> 레드 카펫 프리미어 시사회 중


이상으로 세 감독의 글로벌 프로젝트 진출 배경과 공개될 작품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드렸는데요, 더 후문을 더하자면….
김지운 감독은 차기작으로 SF를 준비중인데 한국에서도 그렇고 헐리우드에서도 이 프로젝트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다고 합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라스트 스탠드>가 조금 아쉬운 성적을 거두어서 걱정이 컸는데 적어도 김지운 감독의 헐리우드 프로젝트는 당분간은 계속 될 예정입니다. 

▶<스토커>선댄스 영화제 월드 프리미어 중


박찬욱 감독 같은 경우는 <스토커>가 3월 1일 북미 개봉으로 한창 준비 중입니다. 또한 북미 개봉 이후에도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 38개 국에서 개봉을 확정지어 본격적인 월드와이드 흥행을 노려볼 예정입니다. 

▶ 2013년 7월 개봉 예정인 <설국열차>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는 현재 모든 촬영을 마치고 2013년 7월, 북미는 물론 전세계 개봉을 목표로 후반 작업이 한창 중이며 이르면 2013년 칸 국제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를 개최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어쩌면 2006년의 <괴물>처럼 2013년에는 <설국열차>로 다시 한 번 봉준호 감독의 프랑스 칸발[?] 어퍼컷을 보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한국영화 팬으로서 세 감독 작품을 굉장히 좋아했는데 이제는 한국영화가 아닌 세계적으로 감독들을 응원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작품 부탁드릴게요!